본문 바로가기

트럼프17

진짜 경제 위기의 신호 우리가 경험한 몇 번의 경제위기는 은행의 부실로 부터 왔다. 은행의 시스템이 의심을 받고 금융위기로 발전하면서 은행 시스템이 망가지게 되었다. 금융위기가 곧 경제위기인 것이다. 경기는 불경기가 있고 경기 호황이 있는 사이클이 있다. 경제 위기는 10년에서 20년에 한번씩 왔다. 이 위기에 어떻게 대응하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이런 변동성과 위기에 어떤 결정을 하는가에 따라 큰 자산의 차이를 갖게 된다. 몇 달 사이에 멀쩡한 회사가 몰락 할 수 있고 자산 가격이 폭락 할 수 있다. 이런 경제 위기가 왔을때 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돌이켜 보면, 자산 가격이 떨어지면 누군가는 싸게 매입하는 시기이다. 그 이후에는 자산의 순위가 많이 바뀐다. 현대 경제의 심장인 은행이 의심받기 시작하면 경제위기와 금융 위기가 .. 2025. 4. 16.
트럼프의 이해를 돕는 금리, 채권과 환율 경제에서 항상 빠짐없이 이야기 하는 것이 금리, 채권, 그리고 환율이다. 현 상황에서 시장을 뒤흔드는 것은 트럼프의 정책과 그의 오락가락하는 인터뷰와 트윗이다. 지난 주말 시장에서는 스마트폰과 노트북은 반도체로 분류되고 상호 관세를 유예로 분류하는 미관세청의 메시지에 환호하였지만, 트럼프의 다시 논의하고 있다는 발언으로 시장의 변동성은 다시 커졌다. 주식 시장과 다르게 미국 채권은 안전 자산으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의 국채의 변동성이 커지며 대표적 안전자산의 이지미가 깨지고 있다. 트럼프가 금융시장의 가장 큰 변동성이 되고 있다. 빅테크 기업이 트럼프 정부에서 많은 활동을하며 로비를 하고 있다. 아마도, 대표적으로 애플에서 스마트폰 노트북과 같은 제품의 지속적인 로비활동을.. 2025. 4. 14.
트럼프는 시간이 없다 트럼프는 시진핑을 존중하고 오랜기간 진정한 의미에서 자신의 친구였고 중국과 합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관세전쟁이 결국 미국의 금융시장과 경제의 불확실성을 확고히 하고 있다. 이미 미국의 주가와 채권에서 타격을 받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너무도 많은 실수를 하고 있다. 물가도 올라갈 수 밖에 없다. 결국 채권 금리의 급등 때문에 트럼프는 90일 관세를 유예하는 결정을 급작스럽게 내린 것으로 보인다. 물론, 발표는 모든 계획에 의해서 진행이 된다고 하지만 계획된 장기 채권금리가 갑자기 오르고 채권시장에 대한 자신의들의 계획과 반대로 가기 때문에 관세를 유예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시간이 별로 없다. 아니다. 트럼프는 시간이 별로 없다. 관세 전쟁을 길게 갖고 갈수 없다. 정해진 타임라인을 넘어서면.. 2025. 4. 12.
트럼프의 착각 트럼프는 관세를 내리지 않고 관세를 통한 세수 확보를 실시할 예정인 것으로 보인다. 기대하는 효과는 6천억~7척억 달러 세수 확대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지만, 예상 효과의 1/3도 힘들 것이다. 관세를 통한 세수확보가 힘든 이유는 관세를 우회하는 여러 전략들이 있고, 제품이 그 만큼 비싸지면 팔릴지도 의문이다.  트럼프는 미국의 국채를 강매하기 원한다. 미국의 관세를 갂아주는 형태로 제공하고 미국채를 강매할 것이다. 상대국이 바보가 아니라면 순순히 협상에 응할까? 일반적으로 자국통화의 환율을 방어하기 위해서 미국채를 매입하였다. 관세 정책으로 미국으로의 수출이 줄어들면 자국통화가 무너질 수 밖에 없다. 멕시코의 수출이 줄어들면 멕시코의 페소화가 약해진다. 그래서 멕시코의 자금은 달러를 사고, 달러는 현금.. 2025. 4. 6.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아이들은 어른이 되고 싶어한다. 나도 어릴때 학교도 가기 싫고, 시험보기도 싫고, 공부하기도 싫었다. 나이가 들면 어른들처럼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화려하고 재미있게 사는 어른들이 TV에 나오기 때문에 누구나 그렇게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데 어른이 되어서도 꼭 배워야 하고 가능한 어릴때 꼭 배워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경제와 금융이다.  우리나라에 얼마나 많은 돈이 있을까? 조사한 데이터를 살펴보면 2024년 금융기관 유동성이 약 5,500 조원이었다. 10년전인 2014년 약 2,700조원이고 20년전 2004년은 약 1,250조원의 돈이 풀렸다. 10년 사이에 약 2배정도의 돈의 양이 늘어났고 앞으로의 10년 후에도 약 2배 정도의 통화량이 늘어날 가능성을 예상할 .. 2025. 4. 1.
경제 위기가 올 것인가? 곧, 4월 2일이다. 뉴스를 보면 미국을 비롯해서 모든 나라의 경제가 나락으로 떨어질 것 같다.  금융시장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예측하지 못하는 위험이다. 드러난 위험은 위험이 더이상 아니라고 했다. 그 동안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모든 나라가 트럼프와 협상을 해야할 판국이다.    1월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국내 기업 50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25년 우리나라 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서 응답자 97%가 경제 위기 올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22.8%는 경제 위기가 IMF 때보다 심각할 것이라 했다. 한국은 내부적으로 계엄령의 정치적인 문제가 경제에 악영향을 주었으며 외부로는 트럼프 2기의 정부가 등장하면서 관세 전쟁을 본격적으로 시작 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가 거의 한계 상황에 와버렸다고.. 2025. 3. 30.
미국 이웃나라의 교훈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을 국경에 두고 있으며 자유무역 협정으로 그동안 관세가 면제되는 품목들이 많았다. 그 결과 임금이 상대적으로 싼 캐나다와 멕시코에 미국 수출을 위한 외국인 직접 투자가 이루어진다. 캐나다는 OECD 선진국으로 미국의 경제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매우 높은 수준의 물가가 형성되었다.특히, 캐나다의 식료품 , 통신 그리고 집의 가격이 매우 높다. 일을 하면서 임금이 높아져도 식비와 주거비를 해결하고나면 돈은 항상 부족하며 삶이 쉽지 않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식료품 가격이 높은 이유는 인플레이션의 영향도 있겠지만 식료품 유통의 비용이 높으며 대형 마켓을 운영하는 세개의 회사가 캐나다 전체 비지니스를 차지하는 독과점 산업이기 때문이다. 대형 슈퍼 체인의 식료품 가격은 비슷하게 구성되.. 2025. 3. 28.
경제적 서플라이체인(Supply Chain) 미국에서 판매되는 미국의 모든 자동차들은 복잡한 서플라이체인(Supply Chain)을 갖고 있다. 차량에 따라서 제조사에 따라 부폼과 조립되는 곳이 다르다. 미국, 멕시코, 캐나다, 한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 부품을 받고 제조된다. 미국의 GM, 포드, 테슬라, 한국의 현대, 일본의 도요타등 모든 제조사들의 상황은 비슷하다. 완성차가 나오기 위해서는 크게 부품을 공급받는 1차 서플라이어, 2차 서플라이어, 3차 서플라이어로 구분하기도 한다. 3차 서플라이어는 그 하위 단의 부품이나 원재료를 다른 서플라이어에게 받아야 한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1차벤더, 2차벤더, 3차벤더로 이야기 하기도 한다. 이 단위는 크게 구분한 단위로, 자동차의 산업에 얼마나 많은 기업과 회사들이 있는지 알 수 있다. 우리는 이런.. 2025. 3. 26.
트럼프는 청구서를 준비중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무리한 요구로 협상을 시작하는 전략을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 라고 한다.  협상 초기에 제시된 정보나 수치가 이후 협상 과정에서 판단이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한다. 협상자는 처음 제시된 정보나 수치를 '닻'으로 삼아 이후 협상 내용을 조율하려는 경향이 있다. 협상 초기에 무리한 요구를 제시함으로써 상대방의 양보를 유도하고, 최종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트럼프는 이 전략에 매우 특화된 사람이다. 트럼프는 높은 관세율을 제시하여 상대국과 필요한 무역협상을 다시 할 것이다. 무역협상의 범위를 미국이 유리한 쪽으로 제한 할 것이다. 지속적으로 무리한 조건을 제시하고 상대방의 양보를 유도하며 협상에서의 결과를 미국의 승리라고.. 202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