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결국 트럼프 경기 침체 가능성을 언급 트럼프는 인터뷰 중 경기 침체 가능성을 언급했다. 관세전쟁을 통하여 미국의 영광과 다시 미국을 부유하게 만들겠다고 하는데 관세 전쟁으로 가능한 일인가는 물음표이다. 인플레이션이 빤히 보이는 가운데 단기적인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대통령이란 사람이 정말 저런 생각을 갖고 정책을 펼치는게 말이되나 싶을 정도다. 국민들에게 고통을 감내하라고 말하는 꼴인데, 여기서 기회라고 생각되며 주식을 계속 사서모으는 사람이 있을까? 5년 임기 후의 미국 경제는 어떨까? 계속 물음표를 던진다. 버핏의 경우 금융주를 대거 정리하고 경기 방어주로 이동하였다고 전해지는데, 버핏의 최근 포트폴리오는 경기의 변동성과 침체를 바라보는 것 같다. 버핏은 항상 주식 시장이 매우 고평가되어 있다라고 말해왔고 .. 2025. 3. 11.
미국 주가의 급락 이유 미국증시 폭락은 금리인하 불확실성, 실업률 상승 등 복합적인 경제적 이유가 얽혀서 경기침체가 올거라는 예상이나 불안감이 형성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주식 시장에서 자금을 빼는 현상이 심화되면서 나타나는데 주식 시장에 주가가 하락하면 비슷한 이야기를 한다. 앞으로의 경제가 좋지 못하다고 판단되면 주가는 하락한다.  다소 빈번히 일어나는 헤프닝일 수 있고 경고성 메시지 일 수 있다. 그러면 정말 미국이 장기 경제 침체에 빠져든는가?미국이 가장 우려하는 일은 자국이 경제 침체에 빠지는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AI반도체 붐으로 활기를 띄던 미국 증시에 갑자기 중국의 AI 산업이 부상되면서 충격을 주게 되었고 거대 자본이 필요한 기술주에 대해서 수익성의 유려로 많은 투자자의 불안감이 커졌다. 앞으로도 미래 .. 2025. 2. 26.
꾸준한 자를 누가 당하는가! 어릴 때 배웠던 취미나 기술을 지금까지 이어서 발전시켰다면 지금 쯤 어떻게 되었을까?나와 같이 취미로 시작했던 이들의 꾸준함을 보면서 대단함을 느끼는 동시에 이제는 보통을 넘어 고수와 스승의 경지에 이른 사람들이 있다. 나이를 먹으니 운동이나 취미를 지금까지 이어온 사람들은 대부분 고수가 되어있다.  나의 지인 중 20대 대학입학 부터 주식 투자를 시작했던 사람이 있다. 지금은 미국과 한국의 주식 가치만 30억이 넘어간다. 투자에서 가장 적은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보려면 투자의 시간을 길게 넣으면 된다. 또한, 복리의 개념인 스노우볼 효과를 보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지속적인 자본의 투입이 필요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본은 스스로 몸집을 불려 나간다. 어려서 부터 이런 .. 2025. 2. 21.
워런 버핏의 주식 매매가 메인 뉴스로 나오는 이유 투자의 달인인 워런 버핏이 애플을 비롯한 은행주등을 계속 팔고 있다는 뉴스가 연일 나오고 있다. 워런 버핏은 올해 94세이며 버크셔 헤서웨이의 회장이다. 버크셔 해서웨이를 줄여서 많은 사람들이 버크셔로 부르고 있다.  버크셔는 2024년 4분기에 애플 주식을 더이상 매도 하지 않고 뱅크오브아메리카 등의 은행주 보유 지분을 지속해서 줄였다고 한다. 2월 1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보고한 보유주식에 따르면 작년 3분기에 애플 지분을 많이 정리 후 4분기 말 애플 주식의 변동은 없었고 뱅크오브아메리카 주식은 지속적으로 매도 했다고 한다. 애플의 주식을 처분 하여도 애플은 버크셔가 보유한 전체 상장주식의 자산 가치에 28%를 차지하며 개별 종목 중 가장 큰 투자 비중을 유지한다. 은행등의 지분률을 낮추는 대신.. 2025. 2. 18.
로봇과 AI가 주도 하는 경제 성장 몇해 전부터 로봇과 AI 산업의 성장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이미 미국과 중국은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산업에서 경제 전쟁을 벌이고 있고 트럼프의 취임은 관세를 무기로  미국 기업의 사업 보호와 육성을 더욱 가속 시키고 있다. 중국의 첨단 산업 발전을 지연시키고 미국 우선주의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미국의 우방국은 매우 당황스러운 처지에 놓여있다. 자국의 산업에 해가되지 않기 위해 미국의 비위를 맞춰주고 싶지만 트럼프의 막가파식 행동에는 어떤 협상전략도 그 앞에서는 매우 힘겹게 느껴진다.   AI의 발전은 그에 맞는 반도체가 필요하다. AI는 주로 무인로봇이나 자율주행등에 사용될 것이다. 미국에서 최근 몇년 사이에 많은 IT 인력의 감축이 있었다. AI의 발전에 따른 인력이 대체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 .. 2025. 2. 17.
미국 ETF QQQ는 우상향 하고 있다(feat 나스닥 100) QQQ ETF는 미국 기술 기업을 주로 투자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미국 경기 호전으로 인해 기업들의 실적이 개선되고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해 초부터 지속해서 오르면서 40% 이상의 누적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다행히도 나의 연금 계좌는 미국 나스닥 100 ETF가 일정 부분 매수되어 있다. S&P500 지수는 16% 정도의 상승을 보인 반면에 나스닥 100의 기술주가 상반기부터 지속적인 상승을 보였기에 아주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1983년 이후 최고의 상반기 성과라고 한다. 기술주의 반등이 시작된 이유는 약 1년여 동안 가치에 수렴한 가격이 매우 약화되었기 때문에 전반기에 대대적인 반등이 있었다. 대.. 2023. 7. 19.
대니머 사이언티픽(DNMR) 동향 7월17일 2023년 대니머 사이언티픽(Danimer Scientific)에 대한 최신 애널리스트의 예상 이익 추정치는 일관되게 인하되었다. 결과적으로 변경된 다소 낮은 수익 전망은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종전 수익 추정치를 달성할 것이라는 상당한 기대감이 있었으나 그 기대치를 아직까지 충족시키지 못했다. 애널리스트들의 새로운 전망은 2023년 74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 예상을 했다. 지난 12개월간 판매 대비 47%의 증가폭으로 상당한 증가이다. 손실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약 30% 정도 감소할 것이며 주당 손실은 1.30달러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런 새로운 합의된 예측은 이전에 예측한 8800만 달러의 매출과 주당 1.27달러의 손실과는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들은 다니머의 .. 2023. 7. 17.
Minerva Surgical(UTRS)을 구매한 이유 Minerva Surgical 은 헬스케어 산업에 속한다. 수익 구조는 전형적인 우리나라 바이오 회사와 비슷하다. 지속적인 투자가 없다면 실적이 없이 자본은 잠식당하게 되기 때문에 연구성과나 판매성과가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기 때문에 실적이 없다면, 앞으로도 향후에 빠르게 반등할 가능성이 없다면, 주가는 지속적으로 하락된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주가는 이제 1달러도 안되고 최근 0.25에서 0.3달러를 오간다. 미국 주식의 단기 투자 관점에서 나는 주식을 매수했고 매수 시점에서 가격이 점점 빠지기 시작해서 결국  팔지 못하고 매입 단가를 낮추면서 매수한 상태이다. 단기 투자를 실험한 종목으로 이전까지 몇 종목을 매수하고 빠르게 매도를 성공시켰다.  그리고 이 종목에서 꼬이기 시작했다. 손절을 할 수 없었.. 2023. 7. 17.
연금을 이용한 S&P 500 ETF 투자 회사를 다니고 있다면 퇴직연금이나 연금저축으로 S&P500 ETF를 투자하는 것을 추천한다. 폭락장을 걱정하는 뉴스와 폭락장을 예상하는 유투버들이 요즘 많이 보인다. 아주 다행이다. 모두가 장밋빛 성장을 예측할 때 불경기가 나타난다고 한다. 폭락장을 예상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에 아직은 폭락의 시기가 아니라 판단된다. 미국 은행이 연쇄부도가 발생하고 미국 정부가 부도가 날까? 그렇다면 당신은 숏을 치기 위해 준비를 해야 한다. 마음 편한 투자를 하고 싶다면 연금을 이용해서 S&P 500을 추종하는 ETF 투자를 추천한다. 워런버핏은 S&P500의 수익을 자신의 회사의 수익률과 비교한다. 버크셔헤서웨이의 주주가 되는 것도 좋지만 S&P500 ETF는 계속 우상향 할 것이다. S&P500의 연평균 수익은 복리.. 2023.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