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는 시진핑을 존중하고 오랜기간 진정한 의미에서 자신의 친구였고 중국과 합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관세전쟁이 결국 미국의 금융시장과 경제의 불확실성을 확고히 하고 있다. 이미 미국의 주가와 채권에서 타격을 받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너무도 많은 실수를 하고 있다. 물가도 올라갈 수 밖에 없다. 결국 채권 금리의 급등 때문에 트럼프는 90일 관세를 유예하는 결정을 급작스럽게 내린 것으로 보인다.
물론, 발표는 모든 계획에 의해서 진행이 된다고 하지만 계획된 장기 채권금리가 갑자기 오르고 채권시장에 대한 자신의들의 계획과 반대로 가기 때문에 관세를 유예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시간이 별로 없다. 아니다. 트럼프는 시간이 별로 없다. 관세 전쟁을 길게 갖고 갈수 없다. 정해진 타임라인을 넘어서면 자신에게 해가될 것이다. 시간은 트럼프의 편이 아니다. 중국과의 관세 전쟁은 쉽지 않을 것이다.
미국채가 대량으로 매도되고 있다. 미국의 국채 금리가 올라가면서 결국 트럼프의 계획이 틀어지고 있다. 트럼프는 10년물 국채로 금리인하 효과를 보려고 하였지만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미국채 10년물 가격이 4월 10일 4.4%까지 뛰어 올랐다. 채권 가격은 약 10%가 하락했다. 미국 정부의 부채는 약 5경원 (약 36조 달러)이다. 미국채 금리가 0.1%만 올라도 이자 50조원을 더 내야 한다. 1주일도 안되는 시간에 약 4%에서 4.4% 증가한 것이다. 트럼프는 재정적자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채 금리가 자기들의 예상과 다르게 흘러가고 있다. 주가는 내벼려 두었지만 채권의 금리가 올라가자 반응을 보였다.
또한, 중국과의 무역전쟁은 쉽지 않을 것이다. 트럼프 1기 때 중국의 대미 의존도는 20%에서 15%로 줄어들었다. 트럼프가 시진핑을 협상 테이블로 불러들이고 싶지만 시진핑은 트럼프가 시간이 별로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고 있다. 미국은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지만 트럼프의 임기는 4년이다. 내년에 하원과 상원의 선가가 있다. 트럼프는 시간이 별로 없다. 이런 상태가 지속된다면 내년부터 정권의 레임덕이 올 수 있다.
거의 모든 나라에서 집권당이 선거에서 패배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물가가 너무 올랐고 경기가 안 좋아졌다. 경제 때문이다.
시진핑은 집권의 임기가 정해져 있지않다. 외부의 적인 미국과 싸우는 모습으로 경기가 안좋아져도 미국의 트럼프가 원인이라고 중국인민들을 선동할 수 있다. 시진핑이 중국을 위해서 미국과 경제, 무역전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트럼프 때문에 중국의 경기가 좋지 않다는 근사한 이유를 만들어 주고 있다. 희토류의 수출을 금지시키고 미국의 제품에 대한 관세를 높이고 미국영화를 금지시킨다. 중국은 할 수 있는 카드를 다쓰고 있다.
중국도 경제적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겠지만 시간은 트럼프의 편이 아닐 것이다. EU도 트럼프의 지지층인 산업을 목표로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의 트윗 하나로 미국증시가 롤러코스트를 타고 있다. 하루만에 반등하더니 다시 폭락하고, 미국채도 같이 불안하게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고 있다. 관세전쟁은 결국 세계 물가를 올리고 말것이다. 미국 재무부장은 채권의 가격도 안정적이라 했지만, 발언이 나온 후 결국은 채권의 금리가 흔들리고 말았다. 이 불안한 정세에 이득을 보는건 누구일까? 계획되고 의도된 전략이라면, 그 계획을 아는 사람들은 주식을 사고 팔면서 변동성이란 뷔페를 먹을지도 모르겠다.
미국은 자본주의 나라이다. 트럼프를 성공한 사업가라고 말하기에는 다수의 사업들을 파산시킨 경험이 있다. 미국내에서도 많은 투자가들과 경제학자들은 트럼프의 이상한 관세정책을 점점 비판하고 있다. 트럼프의 두번째 임기가 더 최악이되는 것 같다. 나는 트럼프 덕분에 연금계좌에서 리밸런싱을 하였고 주식의 비중을 늘렸다.
'경제 만트라(mant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 경제 위기의 신호 (88) | 2025.04.16 |
---|---|
트럼프의 이해를 돕는 금리, 채권과 환율 (81) | 2025.04.14 |
트럼프의 착각 (100) | 2025.04.06 |
어떻게 투자를 해야하는가? (82) | 2025.04.04 |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107) | 2025.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