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4 어떻게 투자를 해야하는가? 투자를 공부하다 보면 여러 이론들이 나온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해야하고 가치평가를 해야하며 그 방법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여러 다양한 투자 방법과 의견들은 투자를 한 마디로 설명하기 어렵게 만든다. 투자는 손실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가를 물어보면 대부분은 결국 어떤 주식을 사야하는지? 어떤 아파트를 사야지 오를까?를 가장 먼저 물어 볼 것이다. 주식 투자에서 특정 종목을 맞힐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보는게 맞을 것이다. 리딩방에서 수수료를 받고 정보를 얻거나 아니면 무료 정보라고 받는 것들을 믿어서는 안된다. 주가조작을 하지않는 이상은 주가가 오를지 떨어질지 알 수 없다고 봐야한다. 주가, 부동산 가격, 금값 등의 자산의 가격은 사람들의 심리에 의해 결정이 된다. .. 2025. 4. 4.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아이들은 어른이 되고 싶어한다. 나도 어릴때 학교도 가기 싫고, 시험보기도 싫고, 공부하기도 싫었다. 나이가 들면 어른들처럼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화려하고 재미있게 사는 어른들이 TV에 나오기 때문에 누구나 그렇게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데 어른이 되어서도 꼭 배워야 하고 가능한 어릴때 꼭 배워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경제와 금융이다. 우리나라에 얼마나 많은 돈이 있을까? 조사한 데이터를 살펴보면 2024년 금융기관 유동성이 약 5,500 조원이었다. 10년전인 2014년 약 2,700조원이고 20년전 2004년은 약 1,250조원의 돈이 풀렸다. 10년 사이에 약 2배정도의 돈의 양이 늘어났고 앞으로의 10년 후에도 약 2배 정도의 통화량이 늘어날 가능성을 예상할 .. 2025. 4. 1. 결국 트럼프 경기 침체 가능성을 언급 트럼프는 인터뷰 중 경기 침체 가능성을 언급했다. 관세전쟁을 통하여 미국의 영광과 다시 미국을 부유하게 만들겠다고 하는데 관세 전쟁으로 가능한 일인가는 물음표이다. 인플레이션이 빤히 보이는 가운데 단기적인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대통령이란 사람이 정말 저런 생각을 갖고 정책을 펼치는게 말이되나 싶을 정도다. 국민들에게 고통을 감내하라고 말하는 꼴인데, 여기서 기회라고 생각되며 주식을 계속 사서모으는 사람이 있을까? 5년 임기 후의 미국 경제는 어떨까? 계속 물음표를 던진다. 버핏의 경우 금융주를 대거 정리하고 경기 방어주로 이동하였다고 전해지는데, 버핏의 최근 포트폴리오는 경기의 변동성과 침체를 바라보는 것 같다. 버핏은 항상 주식 시장이 매우 고평가되어 있다라고 말해왔고 .. 2025. 3. 11. 꾸준한 자를 누가 당하는가! 어릴 때 배웠던 취미나 기술을 지금까지 이어서 발전시켰다면 지금 쯤 어떻게 되었을까?나와 같이 취미로 시작했던 이들의 꾸준함을 보면서 대단함을 느끼는 동시에 이제는 보통을 넘어 고수와 스승의 경지에 이른 사람들이 있다. 나이를 먹으니 운동이나 취미를 지금까지 이어온 사람들은 대부분 고수가 되어있다. 나의 지인 중 20대 대학입학 부터 주식 투자를 시작했던 사람이 있다. 지금은 미국과 한국의 주식 가치만 30억이 넘어간다. 투자에서 가장 적은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보려면 투자의 시간을 길게 넣으면 된다. 또한, 복리의 개념인 스노우볼 효과를 보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지속적인 자본의 투입이 필요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본은 스스로 몸집을 불려 나간다. 어려서 부터 이런 .. 2025. 2. 21. 이전 1 다음